티스토리 뷰
스위치의 동작
- Learning
- 최초 스위치의 MAC address table은 비어있는 상태
- 자신의 포트에 연결된 A와 통신을 위해 패킷을 보내면 그때 A의 MAC address를 읽어 자신의 MAC address table에 저장
- MAC address table을 참고해서 패킷을 전달
- Floding
- A로부터 들어온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가 MAC table에 없음
-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 보냄
- broadcast 메시지를 보낸것과 동일
- Forwarding
- A로부터 들어온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가 MAC table에 있음
- 목적지 주소가 있는 포트로만 프레임을 보냄
- Filtering
- 출발지가 목적지와 같은 세그먼트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세그먼트로 보내지 못하게 막음
- Aging
- 스위치에서 MAC address 는 일정시간(일반적으로 5분)이 지나면 삭제됨
- Aging Timer가 끝나기 전에 해당 포트로 Frame이 들어오면 처음부터 다시 카운트
- MAC table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사용
스위치의 프레임 처리 방식
- Store-and-Forward
- 스위치가 프레임을 모두 받아들이고 난 후 에러검사(검출시 재전송 요구)
- 출발지와 목적지 주소가 어디인지 파악해서 처리해 주는 방식
- Cut-Through
- 목적지 주소만을 본 다음 바로 전송 처리를 시작(처음 48BIT만 확인)
- Store-and-Forward보다 처리가 빠르지만 오류를 찾아내기 힘듬
- Fragment-Free
- Store-and-Forward 와 Cut-Through 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
- 처음 512BIT만 보게되어 Cut-Through보다 에러 감지 능력이 우수
브릿지와 스위치의 차이점
- 처리방식
- 스위치>브릿지
- 스위치 :
- 하드웨어
- cut-throuth or store-and-forward 방식 사용
- 브릿지 :
- 소트웨어
- store-and-forward방법만 사용
- 속도 지원 방법
- 스위치 :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해 줄수 있는 기능 지원
- 브릿지 : 포트들이 같은 속도를 지원
- 스위치는
- 브릿지는 스위치는 브릿지에 비해 제공하는 포트 수가 휠씬 많다
'DEV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LAN (0) | 2015.12.14 |
---|---|
Spanning-Tree Protocol (0) | 2015.12.14 |
CSMA/CD (0) | 2015.12.14 |
Layer (0) | 2015.12.11 |
OSI 7 Layer (0) | 2015.12.11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지니어스
- 인텔리 제이
- 배민
- Oracle
- 무료
- 직링
- 쿠폰
- 개발폰트
- 정답
- 조회
- 신혼
- 여행
- Java
- 배달의민족
- 할인
- 오라클
- 수리영역
- 배민문방구
- phython
- 직구
- 펄
- 시즌2
- 해외
- 데스트톱
- 베네수엘라
- 오피스
- font
- 바다
- 삼슉이
- 유휴시간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